[첫화면으로]종합소득신고

마지막으로 [b]

인터넷으로 신고를 해 보자. 주인장의 울톨릭 동기이자 Danny의 부인인 fngab 양의 도움을 받음.

목차

1. 홈택스 가입

[국세청 홈택스 서비스]에 들어가서 개인 사용자 가입을 한다. 공인 인증서가 필요하다. 도중에 서너 차례 프로그램 설치를 요구한다.

서비스 이용 범위는 뭐가 뭔지 모르겠으니 일단 필요한 "전자신고"에만 체크.

2. 로그인

가입이 되었으면 다시 로그인

3. 전자신고 항목으로 들어감

상단 탭에서 "전자신고" 클릭, 왼쪽 신고세목선택에서 "종합소득세" 선택.

2010년

홈택스 첫화면 중앙의 "종합소득세 신고하기"

4. 신고서 작성

4.1. 신고 전 확인

내 소득의 종류는

신고세목선택에서 "신고서작성" 우측 작성하기 클릭 - 이 때 "세액공제명세서"작성화면에서 "전자신고 세액공제"를 선택하고 세액공제금액 "20,000원"을 직접 입력하라는 창이 뜸. -_-;

2005년

프로그램이 뜨면 입력 시작.

2006년

이걸 굳이 원천징수영수증 받으러 다닐 필요 없이, 국세청 홈택스-신고납부확인-지급조서신고내역조회에 들어가서 뽑을 수 있다.

2008년

2009년

원천징수영수증 확인은 홈-조회서비스-세금신고내역조회-지급명세서

2010년

원천징수영수증 확인은 홈-조회서비스-세금신고내역조회-지급명세서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하기-신고전 확인하기-원천징수영수증

4.2. 기본 사항

2004년

2005년

2006년

2008년

2009년

  3) 신고서 작성
    [세금신고․신고분납부]-[세금신고]-[종합소득세] 메뉴에서 일반신고서(또는 단순경비율에의한추계신고서, 근로소득자신고서)
    「작성하기」를 눌러 신고서를 작성합니다.

  ※ 일반신고서란 단순경비율에의한추계신고서, 근로소득자신고서를 이용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 이용합니다. 
 
  ※ 단순경비율에의한추계신고서란 단일 사업소득(또는 부동산임대소득)만 있으며 장부를 기장하지 않아 정부에서
     정한 일정비율인 단순경비율로 경비를 계산하는 경우에 한하여 이용합니다.

  ※ 근로소득자신고서란 이중근로자 또는 소득공제누락분 추가신고자 등의 경우에 이용합니다.
    (사업소득, 부동산임대소득 및 기타소득 등 타소득을 합산하여 신고하는 경우에는 일반신고서를
     이용하여 신고하여야 합니다.)

2010년

4.3. 소득금액

2006년 - 근로, 기타, 사업소득 순으로 작성하였음

4.3.1. 시간 강사 소득

2006년

"근로,일시재산,연금,기타소득명세서" 란의 "작성" 클릭

2008년

"근로,일시재산,연금,기타소득명세서" 란의 "작성" 클릭

2009년

4.3.2. 프로젝트 인건비

2004년

2005년

"입력내용추가" 클릭

"입력 완료"

2006년

2005년과 완전히 동일

2008년

2010년

4.3.3. 학원 강사 소득

2004년

일단 "부동산임대소득, 사업소득명세서" 우측 "작성" 클릭 - 학원 강의료

"입력내용추가" 클릭

"입력완료" 클릭

그 아래의 "사업소득에 대한 원천징수 및 납세조합징수세액" 옆의 "작성" 클릭

"입력내용추가" 클릭

"입력완료" 클릭

2005년

해당 없음

2006년

먼저 "사업장정보"를 입력하는 곳으로 들어감

"부동산임대,사업소득 관련메뉴"의 명세서 작성 클릭

"사업소득에 대한 원천징수 및 납세조항징수세액"을 작성

4.3.4. BK

"근로,일시재산,연금,기타소득명세서"의 작성 클릭

2004년

2005년

"근로,일시재산,연금,기타소득명세서"의 작성 클릭

"입력내용추가" 클릭

2006년 해당 내용 없음

4.3.5. 전산실 조교 기타소득

2008년

4.3.6. 간편장부 관련 메뉴

2004년

이 부분을 건너뛰었더니 막판에 오류가 남. 에라 모르겠다 하고 위에서 계산한 사업 소득을 그대로 소득 추가분으로, 경비를 경비 추가분으로 넣어주어 숫자를 맞춤.

"다음" 클릭

2005년

해당 없음

2006년

2004년처럼 "총수입금액및필요경비명세서"를 입력하는 쪽에 들어왔는데, 사업자등록번호 입력을 위해 조회를 눌러도 목록에 아무 것도 없다. 그냥 통과.

4.4. 종합소득금액, 결손금

2004년

해당 사항 없어 보임. "다음"

4.4.1. 종합소득금액 및 결손금, 이월결손금 공제 명세서

2005년

"작성" 버튼을 눌러 들어가보았으나, 딱히 뭘 넣어야 할 지 모르겠음. 기타소득에 관해 "결손금"이니 "이월결손금"이니 하는 항목이 있긴 한데 이게 어떤 의미인지, 내가 넣을 수 있는 값이 뭐가 있는지 모르겠음. -_-; 통과.

2006년

역시 아무것도 모르겠다. 그냥 입력완료 -_-;

2008년

통과.

2010년

"사업소득 또는 부동산임대소득의 결손금 또는 최근 5년간 이월결손금이 존재합니까?" 라고 물음. 아니오

4.4.2. 이월결손금 명세서

2005년

"작성" 버튼을 눌러 들어가보았으나, 부동산임대소득과 사업소득의 경우에만 해당이 되는 듯하고, 뭘 넣어야 할지 모르겠음. 통과.

2006년

역시 통과

2008년

통과.

4.4.3. 결손금소급공제 세액환급신청서

2006년

역시 통과

4.5. 소득공제 관련사항 입력

2004년

4.5.1. 소득공제명세서(가족사항)

2010년

4.5.2. 소득공제명세서(소득세법상 소득공제)

2005년(2004년?)

2006년

2008년

2010년

4.5.3. 소득공제명세서(조세특례제한법상 소득공제)

2006년

2008년

2010년

4.5.4. 소득공제신고서

2008년 - 이런 메뉴가 아예 안 나옴

4.5.4.1. 인적공제,연금보험료 공제
2005년

2006년 - 항목 없음

4.5.4.2. 특별공제
2005년

2006년

4.5.4.3. 기타공제
2005년

2006년

4.5.4.4. 세액공제, 근무처
2005년

2006년

4.6. 세액감면(공제), 준비금

4.6.1. 세액감면명세서

2004년'

2005년

2006년

2008년

4.6.2. 세액공제명세서

2004년

2005년

2006년

2008년

2009년

4.7. 종합소득산출세액계산서

2005년

2006년

2008년

4.8. 가산세, 기납부세액 관련사항

4.8.1. 가산세

2004년

2005년

2006년

2008년

4.8.2. 기납부세액

2004년

2005년

2006년

2008년

4.9. 기부금 명세서

2005년

2006년

2008년

4.10. 세액계산

2004년

2005년

2006년

2008년

"신고서작성완료", "신고서보내기" 클릭

이름:  
Homepage:
내용:  

기타분류

마지막 편집일: 2012-5-18 1:38 am (변경사항 [d])
5719 hits | Permalink | 변경내역 보기 [h] | 페이지 소스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