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화면으로]"UseModWiki소스수정/화일관리용스크립트" 페이지의 변경 내역

마지막으로 [b]


현재 버전 . . . . 2003-3-10 11:10 pm 수정한 사람: Raymundo
3 번째 수정본 . . . . 2003-3-10 8:25 pm 수정한 사람: Raymundo
 

변경사항 (가장 최근의 "일반적인 수정"부터) (다른 변경사항 없음)

-3,7 +3,7
다음의 두 스크립트는 UseModWiki 와는 별개로, 화일 관리를 위해서 사용하는 CGI 스크립트이다. 평소에는 퍼미션을 644 로 하여 보관하고 ([[/Download]]에 있는 패키지 안에도 644 퍼미션으로 들어 있다) 사용할 때만 755 로 실행퍼미션을 주어서 사용하라.
== kimsnobody.pl ==
kimsBOARD 의 김성호님이란 분이 만든 스크립트로, nobody 소유의 화일을 삭제할 수 있다.
이것은 K3 버전에 이미 들어 있던 것이다. kimsBOARD 의 김성호님이란 분이 만든 스크립트로, nobody 소유의 화일을 삭제할 수 있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한다. 스크립트에 실행 퍼미션을 준 후 UseModWiki 데이타 디렉토리 아래에 스크립트를 두고, 웹브라우저에서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

-18,9 +18,9
직접 해 보면 쉽게 사용법을 알 수 있다. View 로 디렉토리로 들어가고, Del 로 화일을 삭제한다.
== restore.pl ==
이것은 [[주인장]]이 어줍짢은 실력으로 급조한 스크립트이다. 지정한 디렉토리를 복사하여 nobody 소유의 데이타를 만들 수 있다. 이런 게 필요한 지는 모르겠는데..
이것은 [[주인장]]이 어줍짢은 실력으로 급조한 스크립트이다. 지정한 디렉토리를 복사하여 nobody 소유의 데이타를 만들 수 있다. 이런 게 과연 필요한 지는 모르겠는데..
홈페이지를 다른 서버로 옮기거나, 데이타가 날아가서 복원해야 하는 경우에, cp 명령어 등으로 복사할 경우 소유자가 nobody 가 아니라 자기 자신이기 때문에, wiki.pl 이 복원된 데이타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별 수 없이 디렉토리에는 777, 화일에는 666 으로 퍼미션을 주어야 한다. (즉 타인에게 write 를 전부 허용해야 한다) 이게 아무래도 기분이 나쁘다는 것이 스크립트의 제작 동기이다.
홈페이지를 다른 서버로 옮기거나, 데이타가 날아가서 복원해야 하는 경우에, cp 명령어 등으로 복사할 경우 소유자가 nobody 가 아니라 자기 자신이기 때문에, wiki.pl 이 복원된 데이타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별 수 없이 디렉토리에는 777, 화일에는 666 으로 퍼미션을 주어야 한다. (즉 타인에게 write 를 전부 허용해야 한다. [[Unix의Permission]]참조) 이게 아무래도 기분이 나쁘다는 것이 스크립트의 제작 동기이다.
홈페이지를 이전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일단 기존의 홈페이지에서 위키 디렉토리를 통채로 복사해 온다. 그러면 새 계정에 복사된 데이타는 소유자가 자기로 되어 있을 것이다. 이 데이타 디렉토리를 임의의 임시 디렉토리에 따로 옮겨 두고, restore.pl 화일에 실행 퍼미션을 주고, 적당한 곳에 위치시킨 후 브라우저로 실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