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번째 수정본 소스 보기 : Diary/우리말겨루기
마지막으로 [b]
-- Loading page list... --
내용출력
로그인[l]
Diary
[f]
최근변경내역
[r]
페이지목록[i]
횡설수설[2]
게시판[3]
링크
수정할 수 없습니다: Diary/우리말겨루기 는 읽기 전용 페이지입니다.
== [[/우리말겨루기]] == '''2005-11-7''' 오늘 우연히 봤는데 KBS1에서 [http://www.kbs.co.kr/1tv/enter/woorimal/ 우리말 겨루기]라는 퀴즈프로가 있더군요. 제가 본 전반부는 단어를 제시하고 뜻을 맞추고 후반부는 뜻을 듣고 단어를 대고, 마지막 달인 퀴즈는 띄어쓰기, 발음의 장단 등을 맞추는 식이었습니다. (그런데 우리말의 긴 발음 짧은 발음이 아직도 의미가 있는 것인지 모르겠네요) 1단계의 방식은, 단어를 제시하고, 뜻을 보여주는데 군데군데 밑줄로 가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볼만장만 : __만 하고 __하지 않는 __ }}} 위와 같이 주어지고, 출연자들이 번갈아가며 각 빈칸에 들어갈 글자의 초성을 추측합니다. 자신이 추측한 초성이 어느 칸엔가 있다면 계속 기회가 주어지죠. 그래서 모든 칸이 채워지면 {{{ 볼만장만 : ㅂㄱ만 하고 ㄱㅅ하지 않는 ㅁㅇ }}} 그 다음은 정확히 저 뜻 부분을 맞추는 건데... 위 문제의 정답은 "보기만 하고 간섭하지 않는 모양"입니다. 1단계에 나오는 단어들은 (저 "볼만장만"도 그렇고) 태어나서 단 한 번도 듣지 못했던 단어들이라 신기하더군요. ^^ 출연자들 역시 처음부터 맞추지는 못하고 모든 초성이 밝혀진 다음에도 꽤 힘들어 했습니다. 어쨌거나 그런 식으로 몇 개의 단어가 지나가고,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나왔습니다. {{{ 해미 : __ 위에 낀 아주 _은 __ }}} '낀'이라는 말로 봐서 "바위 위에 낀 이끼? 아주 작은 이끼? 작은 이끼란 말은 좀 이상하고..."라 생각했는데 두번째 칸에 "ㄷ"이 나오길래 그럼 "바다 위에 낀... 그럼 안개인가?"라고 짐작... 이후 출연자들이 초성을 추측하여 최종적으로 밝혀진 것은 {{{ 해미 : ㅂㄷ 위에 낀 아주 ㅈ은 ㅇㄱ }}} 물론, "ㅂㄷ"가 "바다"가 아니라 전혀 다른 단어일 수도 있고, "ㅇㄱ"도 "안개"가 아닐 수도 있긴 합니다만... 바다와 안개가 맡다고 친다면, "ㅈ은"은 "짙은"밖에 안 남지 않았을까 싶었는데... (실제 정답이 "바다 위에 낀 아주 짙은 안개"였습니다) * 출연자 중 한 명은 "바다 위에 낀 아주 '작은' 안개" * 다른 한 명은 "바다 위에 낀 아주 '좁은' 안개" * 두 명은 제한 시간 내 대답 못함 * 마지막 한 명(? - 출연자가 4명이었는지 5명이었는지, 5명이었다면 마지막 한 명의 답이 뭐였는지 전혀 기억나지 않는군요) 이래서 맞힌 사람 없이 통과.. 아이구 아까워라.. 첫번째 분이 "작은"을 하는 바람에 다른 사람들도 계속 작다, 적다, 좁다 등 양으로만 생각이 났나 봅니다. :-) 뭔가 난이도가 들쑥날쑥하다 싶었는데 시청자 게시판에 보니까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군요. 어쨌거나 꽤 흥미로운 프로그램이었습니다. ---- * ''' 이영자 ''' : 정답: 2, 1, 2 -
2005-11-21 10:55 pm
---- [[주인장분류]]
Diary/우리말겨루기
페이지로 돌아가기 |
다른 수정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