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번째 수정본 소스 보기 : AnygateGW300A
마지막으로 [b]
-- Loading page list... --
내용출력
로그인[l]
Diary
[f]
최근변경내역
[r]
페이지목록[i]
횡설수설[2]
게시판[3]
링크
수정할 수 없습니다: AnygateGW300A 는 읽기 전용 페이지입니다.
Upload:prod_300a_img.gif Speed Touch Pro 의 DHCP 및 라우팅 기능 때문에 더미허브 하나만으로도 인터넷 공유는 할 수 있었는데... 사정상 메인 컴을 리눅스로 해 놨더니만 윈도우 쪽으로 특정 포트만 포워딩할 수 없어서 당나귀 등을 쓰기가 힘들고, [[VNC]]로 윈도 컴으로 접속하려면 리눅스를 거쳐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어서... 3년 가까이 써오던 허브를 팽개치고 결국 공유기를 따로 구입하다.. 포트포워딩 설정이 좀 귀찮긴 하지만, 현재로서는 왜 진작에 사지 않았나 (사실 공유기가 뜨기 얼마 전에 3com 허브를 새로 사는 바람에.. 다시 사기가 너무 아까와서 안 샀었음) 후회가 막심함. ---- 아래는 순전히 개인적인 상황이니 볼 필요 없음.. 잊어버리면 귀찮아서 적어둘뿐. 집의 PC 설정 * Sarasa (윈도) - 192.168.1.100 * Raymundus (리눅스) - 192.168.1.101 * 부팅될지도 의심스러운 구닥다리 - DHCP 사용 모뎀 설정 * 네트워크 설정 (내부) ** DHCP 는 192.168.1.102 부터 * 인터넷 연결 설정 (외부) ** SpeedTouchPro 모뎀 사용시 - 유동IP사용 ** SpeedWarp 모뎀으로 교체후 *** PPPoE 사용 *** 사용자ID 는 아무값@hanaro *** 사용자 암호도 아무 값 * 포트 포워딩 ** [[SSH]] : TCP 22번 포트, 리눅스로 ** [[VNC]] : TCP 5910번 포트, 윈도로 (드디어, 학교에서 집의 리눅스로 VNC 접속후 다시 그 안에서 윈도로 VNC 접속하던 불편은 끝이다!) ** eMule : TCP 4662, UDP 4672, 윈도로 (맨날 Low ID 운운하면서 궁시렁대던 것도 끝) ** [[Subversion]] : TCP,UDP 3690, 리눅스로 ** WWW : TCP 80 리눅스로 ** StarCraft 배틀넷 : TCP,UDP 6112 : 윈도우로 *** 펌웨어 업그레이드 이후에는 지정하지 않아도 배틀넷이 되는 듯. * 뭔지 기억 안 남 -_-;; - UDP 20373 윈도우로. * [[Squid]] - TCP 3128 리눅스로 ** 학교에서 간혹 필요해서 열어는 두었는데, 지금 테스트하니 이상하게 프락시 연결이 안 됨. 왜 이러지? * DDNS 설정 ** 제작사에서 유동IP에 도메인을 주는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함. 이제는 DynDNS 에 의존하지 않아도 됨. 훌륭하군! ** 이런, 하루 지났더니 IP 가 바뀌었는데도 한시간 넘게 갱신이 안 되고 있다. 홈페이지에 가보니 같은 증상을 얘기하는 사람들이 있군. ** 모뎀을 SpeedTouchPro 에서 PPPoE 를 사용하는 SpeedWarp 로 바꿨는데, (2004.7.26) 그 때문인지 아니면 그 사이에 서비스가 개선이 되었는지 자동으로 갱신이 된다. 게다가 이제는 내 쪽 리눅스에서 스스로 IP를 알아낼 방법이 없어서 DynDNS 를 쓰기가 힘들어졌다. 이제는 anygate 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써야겠음 포트 포워딩 필요 없이 그냥 되는 서비스 * MSN 화일 전송 (그동안 이게 안 되어서 매번 FTP 로 중간 컴을 거치던 불편도 안녕..) * StarCraft 배틀넷 (웨스트서버에서 방개설 할경우는 6112 포트 포워딩이 필요하다 함) ---- 문제점 * 허브 대신 공유기를 연결했더니만 정작 집 안에서 윈도->리눅스로의 VNC 연결이 원할하지 않다. 연결은 되는데 화면이 나오지 않는다. 이게 어찌된 봉변.. .vncrc 화일에서 color depth 를 8 로 낮췄더니 이제는 된다. ---- 관련 링크: * http://www.anygate.co.kr - 제품 홈페이지 ---- [[컴퓨터분류]]
AnygateGW300A
페이지로 돌아가기 |
다른 수정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