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화면으로]UseModWiki소스수정/작업흐름

마지막으로 [b]

UseModWiki소스수정CVS에서 Git를 사용하는 걸로 옮긴 것까진 어찌어찌 했는데... 막상 소스 수정할 때 적용하려니 너무 헷갈려서, 정리를 좀 해야겠음

1. CVS를 쓰던 당시
2. Git 에서
2.1. 저장소를 몇 개나 사용할 것인가
2.2. 대략 계획하길...
2.3. 이런 식으로 진행하면 되려나
3. 브랜치 트리 보기
4. Comments

1. CVS를 쓰던 당시

일단 CVS를 쓰던 당시 어떻게 했냐 하면... 아주 간단했다.

ditaa diagram

보통 다음과 같은 순서로 소스수정 작업을 함

wiki쪽에서 update를 수행할 때, 대부분의 경우는 usemodkr에서 고친 부분이 고스란히 wiki에 있는 소스에도 반영이 되지만, 간혹 wiki쪽에서 독자적으로 고친 부분과 충돌이 일어날 때가 있다.

이렇게 충돌이 발생하면, 아무리 짧은 시간이라 해도 서버 에러가 나는 등 영향을 받는 것이 제일 불만이었다. wiki로 바로 update하지 않고, wiki와 동일한 상태로 수정이 되어 있는 디렉토리(wiki_test라고 하자)를 하나 더 만들어서 거기에서 먼저 update하여 테스트한 후 이상이 없으면 그 때 wiki에서 update하는 방법을 고려한 적이 있었는데 (오래전 일이라 잘 기억나지 않지만) 이 경우 다음 세 가지가 문제였다:

CVS에도 브랜치란 개념이 있었으니 이걸 잘 쓰면 어떻게 일관성있게 통합할 수 있었을 것 같긴 한데, 굳이 그것까지 공부하고 싶지 않았었음.

2. Git 에서

이게 아주 오묘한데... 솔직히 말하면 Git 말고 Mercurial이 초반 습득 난이도가 낮고 명령어가 덜 많다는 얘기를 듣고는 그걸 익힐 걸 그랬나 하고 후회하는 중이다 -_-;; 뭐 막상 hg를 썼다면 Git가 기능이 정말 많다던데 그걸 쓸 걸 그랬나 하고 후회하고 있을지도. 암튼 내가 Git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자신이 없지만.

2.1. 저장소를 몇 개나 사용할 것인가

어쨌거나, 몇 개의 저장소를 유지할 지를 먼저 고민해봤는데, ditaa diagram

2.2. 대략 계획하길...

아래는 설 연휴 전후로 구상하고 PC에서 간단한 저장소를 만들어 테스트하면서 좌충우돌을 거쳐 나온 것들.

일단 이런 형태로 UseModKr 디렉토리를 저장소로 꾸몄다.
---A---B---C    master
            \
             S  mywiki

첫번째 희망

앞으로 소스를 수정해 나가더라도, 항상 위와 같이
공개용 master 브랜치 + 내 홈페이지용 수정 = mywiki 브랜치
형태를 유지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음
희망:
---A---B---C---D---E---F    UseModKr/master
                        \
                         S' UseModKr/mywiki
wiki 디렉토리 쪽에서 merge하면 이렇게 보인다:
---A---B---C---S---D---E---F---S' wiki/mywiki
               ^               ^

차선책(물론, 희망사항)

새로 작업할 때마다 추가되는 커밋들을 rebase해서, 두 브랜치가 서로 병행해서 자라는 형태도 떠올려 보았음
피하고 싶었음:
---A---B---C---D---E---F    master
            \
             S---D'--E'--F' mywiki

별 수 없이

애초에 위와 같은 구성을 희망했던 이유가, Git의 merge란 게... CVS를 쓸 때처럼 단지 소스가 병합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별개의 브랜치 상에 있는 커밋을 다시 한 곳에서 이어서 진행하는 형태로 구성되더라. (사실 내가 CVS를 제대로 알고 쓰던 게 아니라서 확신은 없다) 그래서 history를 보면 자꾸 갈라졌다 합쳐지는게, 내겐 아직 적응하기가 힘들다. 최대한 rebase 기능을 써서, 변경내역이 하나의 선으로 나타나게 하고 싶었던 것.
정말 피하고 싶었음:
---A---B---C---D---E---F    master
            \           \
             S-----------O  mywiki

추가로 필요한 브랜치들

여기에 추가로, 신경써야 할 게 더 있었다.

추가하려는 기능이 특정 Perl 모듈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나는 서버에 root권한이 없어서 내 홈 계정에 모듈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 경우 위키 소스에는 @INC 배열에 내 홈 계정 경로를 추가해서 모듈을 찾을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러나 공개할 소스에는 그 부분이 들어 있으면 안 된다. 이렇게, 작업하는 동안에는 테스트를 위해서 수정되었다가, 최종 공개 시점에는 원상복구시켜놔야 하는 부분이 있다. 그래서 그 부분을 별도의 브랜치로 뽑았다.
             I   devel_base
            /
---A---B---C     master
            \
             S   mywiki

게다가 앞에서도 적었지만, mywiki 브랜치 쪽에도 문제가 있는게... 홈페이지주소간단히하기를 적용해 놨더니만, 작업하던 디렉토리에서 mywiki 브랜치를 체크아웃한 후 테스트를 해 보려 했더니, 링크들이 죄다 wiki/ 디렉토리로 걸리는 바람에 링크만 클릭했다 하면 작업 디렉토리를 벗어나버린다. 따라서 주소간단히하기 적용을 일단 취소해놔야 한다. 즉 mywiki를 테스트하려 해도 선행작업이 필요하고, 테스트가 끝난 후 실제로 내 홈페이지에 적용하기 직전에 그 선행작업 부분을 다시 되돌려야 한다는 얘기.
             I   devel_base
            /
---A---B---C     master
            \
             S   mywiki
              \
               W mywiki_test

테스트는 I와 W커밋에서 시작해야 하는데, 최종 결과는 그 두 커밋은 빠져야 하고 C와 S의 라인에서 바로 이어져야 한다...는게 상황을 아주 귀찮게 만들고 있다.

그럼 전에 CVS로는 이런 문제가 없었냐 하면... 그 때는 아예 방법을 몰라서 매번 손으로 I와 W에 해당하는 작업을 해주고, 테스트가 끝난 후 다시 찾아서 지워줬다 -_-;;; 그래서 사실, 버전업된 위키소스 tar.gz 파일을 공개한 후에야 그걸 지우지 않았다는 걸 깨닫고 부랴부랴 다시 고치고 압축해서 공개하고 한 적도 많음.

2.3. 이런 식으로 진행하면 되려나

그럼 실제로 소스수정할 때 어떤 식으로 할 지 순서를 적어보자. 이 문서를 작성하는 시점에서는 계속 간단한 저장소를 가지고 테스트만 해 봤고 실제로 위키소스를 수정하며 적용해보지는 못 했다.

1. UseModKr 저장소 - CVS에서 갓 넘어온 상태
             I   devel_base  (공개버전 테스트에 필요한 로컬 수정)
            /
---A---B---C     master      (공개될 버전)
            \
             S   mywiki      (내 홈페이지 버전)
              \
               W mywiki_test (내 홈페이지 테스트에 필요한 로컬 수정)

2. 새로운 기능을 추가 하기 위해서 devel_base에서 topic 브랜치 분기. 그냥 devel_base에서 고쳐도 되겠지만, 브랜치를 분기하면 하다가 아니다 싶으면 브랜치를 없애면 되니까 더 나을 듯.

$ git co -b topic devel_base
[ 작업하고 커밋하고 반복 ]
               T1--T2   topic
              /
             I          devel_base
            /
---A---B---C            master
            \
             S          mywiki
              \
               W        mywiki_test

3. 잘 된다 싶으면 master에 일단 합치자.
$ git rebase --onto master devel_base topic
            T1--T2      topic
           /  
           | I          devel_base
           |/
---A---B---C            master
            \
             S          mywiki
              \
               W        mywiki_test

4. devel_base의 경우는 외부에 push되는 일 없는 브랜치니까, 맘대로 rebase 가능. 다음 번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지금 끝으로 빼두자.
(devel_base)$ git rebase topic
                    I   devel_base
                   /
             T1--T2     topic
            /
---A---B---C            master
            \
             S          mywiki
              \
               W        mywiki_test

5. 이제 master는 topic과 합친다.
(master)$ git merge topic1
                     I   devel_base
                    /
---A---B---C--T1--T2     master, topic
            \
             S           mywiki
              \
               W         mywiki_test

6. 이제 gyparkwiki에 적용할 버전을 만들자. 이 디렉토리에서 테스트를 하려면 W위에서 해야 하므로, merge한다.
$ git co mywiki_test
(mywiki_test)$ git merge master
                     I    devel_base
                    /
---A---B---C--T1--T2      master, topic
            \       \
             S       \    mywiki
              \       \
               W-------O  mywiki_test

7. 별 문제가 없으면, 이제 S에 master를 merge한다.
$ git co mywiki
(mywiki)$ git merge topic1
                     I    devel_base
                    /
---A---B---C--T1--T2      master, topic
            \      |\
             S-----O \    mywiki
              \       \
               W-------O  mywiki_test

8. topic 브랜치는 이제 필요 없으니 지워도 되고, 기록을 위해 남기고 싶으면 남겨도 될 듯 (그러나 그런 용도라면 tag를 쓰는 게 나으려나)
$ git branch -d topic

9. 이제 wiki 디렉토리 쪽에서는 여기 있는 mywiki 브랜치를 가져간다.
$ cd ../wiki
(mywiki)$ git pull

10. 이후에 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다면 UseModKr 저장소의 모습은 아마도 다음과 같을 것이다.
                             I     devel_base
                            /
---A---B---C--T1--T2--T3--T4       master, new_topic
            \      |\      |\
             S-----O-\-----O \     mywiki
              \       \       \
               W-------O-------O   mywiki_test

10-1. 생각해보니 mywiki는 rebase를 하면 곤란하니 merge를 한다 치고, mywiki_test는 매번 저렇게 merge할 게 아니라, mywiki까지 작업이 끝난 후에 W 커밋만 뒤로 옮겨 붙여도 될 듯?
                             I     devel_base
                            /
---A---B---C--T1--T2--T3--T4       master, new_topic
            \      |       | 
             S-----O-------O       mywiki
                            \
                             W'    mywiki_test
(mywiki_base) $ git reset --hard W     # 일단 W지점까지 롤백하고
(mywiki_base) $ git rebase mywiki      # mywiki 뒤로 붙임

3. 브랜치 트리 보기

음, Git에서는 디렉토리를 묘사하는 오브젝트의 명칭이 tree라서, 여기서도 트리라고 말하면 혼동의 여지가 있겠지만, 달리 좋은 표현이 떠오르지 않네.

암튼, 현재 저장소에 있는 모든 브랜치의 내역을 전부 보고 싶으면
 git log --pretty=oneline --all --graph --decorate
등으로 할 수는 있겠지만 아무래도 GUI 툴도 쓰게 된다.

그런데 msysgit에 같이 있는 gitk를
 gitk --all
와 같이 실행하면... 어떻게든 브랜치들의 진행 라인을 왼쪽 컬럼부터 채워서 적으려고 하는지 자꾸 갈라졌던 브랜치들의 라인이 틈만 나면 왼쪽으로 다시 합쳐지려고 한다.

말로 설명하기 복잡하니 그림으로: 현재 위키소스수정을 하면서 매번 새로운 토픽 브랜치를 만들어 작업하고, 끝나면 master 브랜치에 합치는 식으로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면 하다가 아니다 싶으면 브랜치를 바로 날려버리면 되니까. 그래서 브랜치가 9개일 때의 상황인데, gitk의 출력을 도저히 내가 알아보기 힘들어서 다시 엑셀에 정리를 좀 해 보았다. 엑셀에서는 한 컬럼이 하나의 브랜치고 아래에서 위쪽으로 진행이 되고 있고, 빨간 선은 브랜치가 새로 분기하는 거고 파란 점선은 merge이다.

암튼 gitk의 출력은 너무 알아보기 힘들어서, 다른 게 없나 싶어서 gitk 매뉴얼 페이지 마지막에 있는 다른 툴을 알아봤는데,

엑셀로 매번 정리하는 것도 화딱지 나는 일이라서 -_-; Perl 스크립트(GitFancygraph)를 만들어 git의 출력을 가지고 재배열하게 해보았다.

브랜치들 간의 커밋들의 진행관계를 나타내주는 [git-todo 플러그인]도 참고.

4. Comments

흐음, 2.16a 버전 작업하면서 처음으로 mywiki와 master를 merge하는데 충돌 발생. 이건 아마도, mywiki를 처음에 내가 구성할 때 rebase를 한 번 하는 바람에 ISBNLink 함수를 수정한 커밋이 양쪽에서 두 번 들어가 있는 상태여서, 그걸 다시 수정한 2.16a의 커밋과 충돌한 것 같다. 그 다음 2.17 ditaa 플러그인 작업할 때는 아무 문제 없었는데, 이거야 새로운 파일 하나만 추가된 것이니 당연하고... 차후에 wiki.pl을 고치는 다른 작업을 할 때 확인해봐야겠음.
-- Raymundo 2012-1-28 8:46 pm
이름:  
Homepage:
내용:
 


주인장분류 컴퓨터분류

마지막 편집일: 2013-11-5 10:16 am (변경사항 [d])
1986 hits | Permalink | 변경내역 보기 [h] | 페이지 소스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