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번째 수정본 소스 보기 : UseModWiki소스수정/Configuration
마지막으로 [b]
-- Loading page list... --
내용출력
로그인[l]
Diary
[f]
최근변경내역
[r]
페이지목록[i]
횡설수설[2]
게시판[3]
링크
수정할 수 없습니다: UseModWiki소스수정/Configuration 는 읽기 전용 페이지입니다.
UseModWiki 한글패치버전을 다운받아 설치한 후에, 기본적인 설정을 하는 방법 wiki.pl 화일과 config.pl 화일 두 곳에서 동일한 내용의 설정항목들이 있다. wiki.pl 쪽의 환경설정을 사용할 수도 있고, config.pl 쪽의 설정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차후에 wiki.pl 이 업그레이드될 것을 대비하여 config.pl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wiki.pl 쪽에서는 다음의 항목 정도만 설정해 주면 된다. (이하의 내용은 UseModWiki 0.92K3 버전으로, 이 홈페이지의 설정에 해당한다. 버전과 자신의 홈페이지 환경에 맞춰 적절히 바꿔줘야 한다.) {{{ 1 #!/usr/bin/perl (perl 인터프리터가 있는 경로명) ...... # 페이지나 유저 등 각종 데이타 화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 기본값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타인이 브라우저로 유저데이타 등을 들여다 볼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경로로 변경해 주도록 한다 # 이왕이면 public_html 디렉토리 밖으로 빼는 것을 권장함 63 $DataDir = "data"; # 이 값을 1 로 하면 config.pl 의 설정을, 0 으로 하면 wiki.pl 에 있는 설정을 적용하게 된다 64 $UseConfig = 1; ...... # 설정화일 역시, 이왕이면 다른 이름으로 변경하는 것을 권장함 (아래 두 줄의 config.pl 을 적절히 수정) 169 if ($UseConfig && (-f "config.pl")) { 170 do "config.pl"; # Later consider error checking? 171 } }}} 다음은, config.pl (위에서 다른 이름으로 변경했다면 그 이름의) 화일을 수정해 준다. 아래 관련 링크를 찾아 보면 설정 화일의 각 항목에 대한설명이 있다. 여기서는 몇 가지만 눈여겨 본다. {{{ ...... $ENV{PATH} = "/usr/bin/"; # diff 실행화일이 있는 경로 ...... # 관리자 암호는 자신만이 알 수 있는 것으로 하고, 편집자 암호는 정책에 따라 자신만이 알 수 있는 것으로 하던가, # 남에게 공개하는 데 적합한 일반적인 단어로 지정하던가 선택한다. # 어쨌거나, 전혀 암호화되지 않고 그냥 저장되므로, 다른 곳에서 사용하는 암호와는 다르게 지정하는 것을 권장함 $AdminPass = "adminpass"; # 관리자암호 $EditPass = "editpass"; # 편집암호 ...... # 1이면 아무나 편집할 수 있고, 0이면 편집암호를 아는 사람이 로긴한 경우에만 편집이 가능하다. # 사이트 정책에 맞춰서 설정 $EditAllowed = 0; ...... $UseEmoticon = 0; # 이모티콘 사용여부. 가끔 분위기 파악 못한 이모티콘이 튀어나오는 경우가 있으니... }}} ---- 관련 링크: * UseModKr:UseModWikiHelp - UseModWiki 의 설치, 환경설정, 스타일쉬트 등에 대한 설명을 볼 수 있다. * http://paedros.x-y.net/cgi-bin/wiki/wiki.pl?UseModWiki - 한글패치버전 ** http://paedros.x-y.net/cgi-bin/wiki/wiki.pl?UseModWiki_설치가이드 - 한글패치버전의 설치 가이드 ---- [[주인장분류]] [[위키위키분류]]
UseModWiki소스수정/Configuration
페이지로 돌아가기 |
다른 수정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