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ry/20080730서울시교육감선거결과 페이지의 소스 보기
마지막으로 [b]
-- Loading page list... --
내용출력
로그인[l]
Diary
[f]
최근변경내역
[r]
페이지목록[i]
횡설수설[2]
게시판[3]
링크
수정할 수 없습니다: Diary/20080730서울시교육감선거결과 는 읽기 전용 페이지입니다.
#TEMPLATE [[Diary/DynamicTemplate]]
== [[/20080730서울시교육감선거결과]] ==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01670.html 25개구중 17곳 졌어도 ‘강남권’이 살렸다 : 사회일반 : 사회 : 뉴스 : 한겨레] '만약 다른 구 투표율이 서초구만큼 높았다면...'이라는 생각을 하다가, 눈으로 확인해보고 싶어서 엑셀 가지고 만지작거려 봤다. '''일단, 현실부터''' 선거결과 수치는 [http://www.nec.go.kr:7070/edextern/main.jsp?GUBUN=tgm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개표진행상황 들어가서 가져왔음. 각 구 별 공정택-주경복 두 후보의 득표율을, 투표율이 높은 구 순으로 정렬했다. 엑셀에서 보이는 것처럼 예쁘게 웹페이지에서 보이게 할 방법을 궁리하다가, 귀찮아서 그냥 캡춰해서 그림 파일로 올림 -_-;
Upload:table_sorted.png \\ (위쪽에 있는 '합계'는 선관위 홈페이지에 있는 수치를 그대로 복사한 값, 아래쪽에 있는 '합계'는 각 구 별 수치를 합산하한 계산결과이다. 당연히 위와 아래 수치는 서로 일치한다) Upload:chart_sorted.png \\ (막상 그래프로 놓고 보니 정말 서초구와 강남구의 저 득표는...;;;)
'''경우1. 모든 구의 투표율이 동일했다면?''' 가장 투표율이 낮았던 금천구(13.20%)의 경우, 공정택 31.12%, 주경복 43.17%의 비율로 표가 나왔다. 이 "후보자별 득표율"은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로, 투표율이 서초구(19.63%)만큼 나왔다면 어땠을까?
Upload:case1_chart.png \\ (즉 요렇게 투표율이 동일하게 나온다면)
Upload:case1_table.png \\ (아뿔싸... 여전히 공정택 승) 표 읽는 법: * 제일 위에 있는 '합계'는 기존 결과값 그대로임. * 하얀 바탕은 기존 결과값 그대로 고정된 수치. 선거인수는 변할 리가 없고, 후보별 득표율도 그대로 고정되었다고 가정한다. * 노란 바탕, 즉 각 구의 투표율을 임의로 변경해 본다. * 분홍 바탕은 투표율에 따라 변동되는, 가상의 결과이다. 금천구의 예를 들어 보면 ** 투표수는 선거인수에 투표율을 곱한 값. 196,710명 중 19.63%가 투표를 하니 38,620명이 투표를 했을 것이다. ** 무효투표수는, 기존 결과의 "무효표 비율(무효표/투표수)"을 이 가상의 투표수에 곱한 것이다. 즉 무효표의 비율도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했음. 금천구의 경우 25,957명이 투표했을때 121표가 무효표였으니, 38,620명이 투표하면 180개의 무효표가 나왔을 것이다. ** 유효표는 투표수에서 무효투표수를 뺀 값. 38,620 - 180 = 38,440 ** 공정택 후보는 금천구에서 31.12%의 지지를 얻었으니, 38,440 * 31.12% = 11,962표를 얻었을 것이다. ** 주경복 후보는 38,440 * 43.17% = 16,594표를 얻었을 것이다. * 이런 식으로 각 구의 득표수 예상치를 뽑은 후, 합산한 것이 제일 아래 있는 '합계' 행이다. 공정택 622,262표, 주경복 613,012표를 얻었을 것이란 얘기.
아아... 현실에 비해서 표 차이는 줄었으되, 여전히 9,250표가 부족해서 졌겠구나... (은근히 충격적이다.. 여기서 뒤집히는 걸 보인 후에 "거 봐, 투표했으면 달라졌을 거 아냐!"라고 소리지르고 싶었던 건데...) 혹시나 착각할 수 있어서 부연하면, 투표율이 몇이 되든 (19%이든 50%이든 100%이든) 구 별 득표율이 변하지 않는다면 최종 결과도 공정택 후보 승이다. '''경우2. 주 후보가 이긴 구들만 투표율이 높았다면''' 공정택 후보가 앞섰던 8개 구는 그대로 두고, 주경복 후보가 앞섰던 17개 구... 이 17개 구의 투표율이 서초구만큼 높았다면 어땠을까. (가정 자체가 정말 구차해지긴 한다-_-;)
Upload:case2_chart.png \\ (즉 투표율이 요러코롬 나왔다면)
Upload:case2_table.png
에잉.. 그래도 안 되네. '''경우3. 투표율이 정반대였다면''' 왠지 미련을 버릴 수 없어서 -_-;; 각 구 별 투표율이 정 반대였다면 어떨까. 즉 금천구의 투표율이 19.63%로 1위, 서초구의 투표율이 13.20%로 최하위였다면... 경우2보다도 더욱 구차해지는 가정이다;;
Upload:case3_chart.png \\ (즉 투표율 곡선이 좌우로 뒤집혔다면 말이지...)
Upload:case3_table.png \\ (이제야 겨우...)
아 힘들다 힘들어. 뱀다리... 이 결과를 보고 '뭐 내가 투표하러 갔어도 소용없었겠네' 같은 소리를 하는 사람이 있을까 걱정이다;
===== Comments & Trackbacks ===== 아무리 투표 시간이 길었다고 해도.. 출근해야 하는 사람 중에 그 시간에 투표하러 갈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어요..
뭐 투표 날짜, 시간, 장소, 모든 게 다 영향이 있긴 하겠죠.
---- [[주인장분류]]
Diary/20080730서울시교육감선거결과
페이지로 돌아가기 |
다른 수정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