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도메인만들기/네임서버설정 페이지의 소스 보기 (부분)
마지막으로 [b]
-- Loading page list... --
내용출력
로그인[l]
Diary
[f]
최근변경내역
[r]
페이지목록[i]
횡설수설[2]
게시판[3]
링크
수정할 수 없습니다: 개인도메인만들기/네임서버설정 는 읽기 전용 페이지입니다.
== # 어느 네임서버를 이용할 것인가 == 문제는 어느 네임서버에서 그 설정을 해 줄 것인가 하는 점. 크게 네 가지 길이 있었다. * 서울대 네임서버 (147.46.80.1,147.46.80.2) 를 사용 ** 호스트가 서울대 내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호스트가 위치한 전산망의 공식 네임서버를 사용하는 것이니 개념상 꽤 합당해보였다. ** 전산원에서 관리하는 학내 공식 서버인만큼, 안정성이 보장된다. ** '''but''', 전산원에 전화로 문의한 결과, 서울대 전산원에서는 ''snu.ac.kr'' 로 끝나는 도메인 이외의 다른 도메인을 사용하는 것은 지원을 해 줄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 이 때 처음 알았는데, 학내에 있는 호스트에 다른 도메인을 사용한 경우는 전부 몰래(?) 하는 것이고, 전산원에서는 현재는 이를 묵인하고 있지만, 나중에 정책 변경 여하에 따라 이런 경우를 적발하여 차단할 수 있다고 한다. * 외부 업체에서 제공하는 도메인 포워딩을 이용 ** (주)아이네임즈에서는 도메인 포워딩 서비스에 별도의 이용료를 받고 있었고, (주)아사달에서는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그래서 일단 아사달에 회원 가입을 하고, 도메인 포워딩 서비스를 신청하였다. ** [[/개인도메인의네임서버지정]] 과정을 통해서, 내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아사달에서 공지한 네임서버로 설정하였다. (p1.asadal.net 211.233.39.186 , p2.asadal.net 211.233.38.28) ** '''but''', 결과가 상당히 불만족스러웠다. "유동 포워딩"과 "고정 포워딩" 두 가지 방식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는데, 유동 포워딩 방식에서는,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gypark.pe.kr 을 입력하면 그 주소를 실제 주소로 변경하여 refresh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주소창에 실제 주소가 나타나 버린다. 고정 포워딩 방식에서는, gypark.pe.kr 로 접속했을 때 아사달 측의 서버에서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프레임셋을 출력하고, 그 프레임 안에 실제 주소의 페이지를 집어넣는 방식이다. 주소창의 도메인은 바뀌지 않지만, 내부에 있는 링크들은 모두 원래의 주소 그대로 나온다. 게다가 두 방식 모두,
gypark.pe.kr/DateBK5/index.html
과 같이 하위 디렉토리나 파일을 직접 주소에 적어서 억세스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 다른 네임서버를 이용 ** 누군가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동작하고 있는 네임서버를 이용하는 방법 ** 실제로 특정한 동호회나 동문회 사람들끼리 하나의 네임서버를 운영하여 구성원들의 도메인을 담당하게 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 '''but''', 네임서버 관리자와 친분이 있지 않으면 부탁하기 힘들다. :-) 게다가, 그 네임서버의 안정성을 신뢰하기 힘들다. * 홈페이지가 있는 서버 (HHHHHH.snu.ac.kr) 에서 직접 네임서버를 운영 ** 네임서버 관리의 권한이 연구실에 있으므로 설정 변경 등을 맘대로 할 수 있다. ** 네트웍 안정성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네임서버가 접속이 안 되는 상황이라면 어차피 홈페이지도 접속이 안 된다는 것이니..) ** '''but''', 네임서버 설정하는 것에 전혀 문외한이었고, 무엇보다도 '''네임서버는 외부 공격에 매우 취약하여 보안상 문제점이 많다'''. 웬만한 해킹 사례를 보면 bind 나 기타 nameserver 의 헛점을 노렸다는 얘기는 빠지지 않고 나온다. 항상 보안 관련 뉴스에 귀기울여야 함. 처음에는 네번째 방법, 즉 HHHHHH에 직접 네임서버를 설치하는 것을 택했는데, HHHHHH가 연구실에서 꽤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서버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맘에 걸려서, 세번째 방법과 결합하였다. 즉 연구실 내 다른 서버(NNNNNN)에 네임서버를 설치하고 운영하기로 하였다.
개인도메인만들기/네임서버설정
페이지로 돌아가기 |
다른 수정본 보기